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9

멸종위기동물 흰발농게 이야기 멸종위기동물 흰발농게 이야기 흰발농게 수컷은 한 집게가 다른 쪽에 비해 매우 큰 것이 특징입니다. 암컷은 대칭이라고 하네요~ 흰발농게는 갯벌의 바닥에 수직으로 구멍을 뚫어 생활하는 습성이 있으며 멸종야생동물 2급입니다. 하지만 환경오염과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으며 향후 10년 이내 서식지가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큰 발을 흔들며 춤을 추는 것 같은 모습의 흰발농게를 보는 건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2024. 2. 29.
장수풍뎅이와 닮은 장수하늘소 멸종위기종 1급으로 천연기념물 장수풍뎅이와 닮은 장수하늘소 멸종위기종 1급으로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는 장수풍뎅이와 더불어 유명한 곤충이지만, 멸종위기종 1급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있습니다. 장수하늘소 유충은 성인 남성의 손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커요! 장수풍뎅이와 달리 유충의 수명은 7년 정도로 길고 성충은 1개월 정도라 개체의 증식과 보존이 매우 어렵다고해요. 현재 개인 사육이 허용되어있는 장수풍뎅이의 개체 수는 과하게 늘어난 반면 장수하늘소는 자연에서 발견된 개체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곤충사육자들은 장수하늘소의 민간 사육을 허가해 장수하늘소의 개체수를 늘리는 방법도 조언하고 있다고 하네요. 2024. 2. 28.
산양 용마산 인왕산에 살고 있어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산양 용마산 인왕산에 살고 있어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산양은 이름대로 험한 산악지대나 가파른 바위에 서식합니다. 대부분 일생 동안 일정 지역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서식지 파괴로 인한 개체 수 감소가 치명적입니다. 현재는 국립공원종복원센터에서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인데요, 작년엔 국립생태원에서 새끼도 태어났습니다! 최근 용마산과 인왕산에서 발견된 일이 있어 야생 개체에 대한 조사가 더 필요한 시점입니다. 2024. 2. 27.
다시보자! 쇠똥구리? 소똥구리 멸종동물 프로젝트 다시보자! 쇠똥구리? 소똥구리 멸종동물 프로젝트 쇠똥구리는 똥을 굴리는 모습으로 우리에게 매우 친근한 곤충입니다. 하지만 1971년 이후 한국에선 공식적으로 쇠똥구리가 발견된 적이 없는데요. 가축 목초지가 줄고 항생제와 구충제 사용이 많아지면서 쇠똥구리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쇠똥구리는 생태계의 청소부라고 불릴 정도로 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이에 환경부는 현재 쇠똥구리를 복원하기 위해 몽골에서 쇠똥구리를 데려와 복원계획에 힘쓰고 있다고 합니다. 2024.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