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9

사라진동물 복원하기 붉은여우 사라진동물 복원하기 붉은여우 여우하면 흔히 떠오르는 종인 붉은여우는 우리나라에서만 멸종위기에 처해있습니다. 6.​25 당시에 투약한 독성 물질과 남획 때문에 많은 여우들이 죽었으며 8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판단했다고 하네요. 현재는 풍기에 있는 국립공원공단의 복원센터에서 약 60여마리의 여우를 보호 및 증식에 노력하고 있어요! 2021년 소백산에 발생한 여우가 강릉에서 발견되는 둥 붉은여우의 복원에 대한 희망이 보이고 있습니다. 2024. 3. 4.
귀여운 소형 돌고래 상괭이 이야기 귀여운 소형 돌고래 상괭이 이야기 상괭이는 동아시아에서만 서식하는 소형 돌고래로 최근 공중파 방송에서 나오는 등 사람들 사이에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웃는 듯한 얼굴이 매우 귀엽습니다. 하지만 현재 세계에서 1만여마리 이하의 개체만 남아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멸종위기종이라는 이유로 유명해졌지요. 2000여년도에는 어민들이 그물에 걸린 상괭이를 횟집에 팔아넘기는 둥의 거래가 매우 일반적이었다고 하네요. 당시에는 불법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다른 물고기와 함께 잡히는 혼획은 지금도 흔하게 이루어지며 이것이 개체수를 줄이는 큰 원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아직 늦지 않았다고 말하며 혼획을 줄이는 탈출망의 사용을 어업인들에게 권장하는 현업이 중요하다 말합니다. ​ 2024. 3. 3.
멸종위기 야생조류 흰목물떼새 멸종위기 야생조류 흰목물떼새 흰목물떼새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의 물떼새과 조류입니다. 주로 자갈이 많은 강가에 번식하지만 하천공사와 모래톱 소실로 인한 서식지 붕괴로 멸종위기종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지난해 낙동강 수위가 낮아지면서 드러난 모래톱에서 흰목물떼새가 알을 낳고 번식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는데요. 흰목물떼새는 전 세계에서 1만여 마리에 불과하며 국제적으로도 보호가 필요한 종이므로 좀 더 면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2024. 3. 2.
멸종위기종 참달팽이 스토리 멸종위기종 참달팽이 스토리 참달팽이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 전라남도 홍도에서만 분포하는 고유종입니다. 참달팽이는 숲속의 습기가 많은 나무나 돌담위에서 서식하는데요. 현재는 개간과 농약살포등에 의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멸종위기 2급 상태입니다. 하지만 다행히 지난해 국립생태원에서 참달팽이 인공증식에 성공해 효과적인 사육환경을 마련했습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더 연구를 통해 보다 발전된 증식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2024. 3. 1.
반응형